목록공부/인공지능 (6)
공hannah부

목표 - EV3 로봇을 활용해 유전학습 구현하기 - 어떻게 하면 가장 효율적으로 그네를 탈 수 있을까? 유전알고리즘이란? - 강화학습의 한 분야로 다윈의 적자생존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역 최적화 기법이다. 많은 집 속에서 주어진 문제를 가장 잘 풀어내는, 혹은 가장 적합한 해를 선택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 과정에서 자연계의 진화를 본딴 여러 연산을 수행한다. - 자연선택을 통해 생명체가 진화함을 활용해 랜덤한 유전자들 중 '좋은' 유전자들을 선별해 살아나게끔 설정한다 - 여기서 중요한 점은 유전적 다양성을 지키기 위해 '좋지 않은' 유전자일지라도 세대에 약간의 변동을 주기위해 남겨놓아야 한다! 알고리즘(순서도) 코드 #!/usr/bin/env pybricks-micropython from pybrick..

EBS - 수학과 함께하는 AI기초 공부하기 프로젝트! 학습단계 - 예측함수: 아이스크림 쇼핑 클릭량이 어떻게 변할지 예측하는 회귀모델을 만들어야 함 → 선형 회귀 모델 사용 - 비용함수: 만든 예측함수가 좋은지 아닌지를 판단 → 최소제곱법 알고리즘 사용 선형회귀 모델 - 선형회귀: 데이터의 개수가 많아지면 모든 점을 동시에 지나는 직선을 하나로 정하기 어려워진다 → 데이터 간의 관계를 가장 잘 대표하는 직선을 찾아야 한다! - 선형회귀 모델: 입력변수와 출력 변수 사이의 관계를 직선으로 나타낸 함수 - 좋은 선형 회귀 모델이란? 입력 변수에 따른 출력 변수의 예측값이 실제 출력값에 가장 가까운 값이 되도록 하는 모델 즉, 평균제곱근오차가 최소가 되는 두 수(선형 회귀 모델의 y절편과 기울기)를 구해야 ..

EBS - 수학과 함께하는 AI기초 공부하기 프로젝트! 필요한 정보 - 평균 기온의 도수분포 - 평균 기온에 따른 아이스크림 쇼핑 클릭 코드 - 평균 기온 도수분포 구하기 import numpy as np bins = np.arange(min(temp),max(temp)+5,5) hist, bins = np.histogram(temp, bins) print(hist) print(bins) - 평균 기온 값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해당 날짜의 아이스크림 쇼핑 클릭량 구하기 for i in range(0,len(temp)): for j in range(0,len(bins)): if j == len(bins): ice_buy[j] = ice_buy[j] + ice[i] else: if bins[j]

EBS - 수학과 함께하는 AI기초 공부하기 프로젝트! 기온변화 데이터 저장 -기온변화 데이터는 기상자료개방포털 홈페이지에서 얻을 수 있다! -나는 가장 최근 년도인 2022년 1년 동안의 기온 변화 데이터를 다운받았다. -csv파일로 다운받기! 아이스크림 구매여부 데이터 저장 -아이스크림 구매여부는 네이버 데이터랩에서 얻을 수 있다! -나는 2022년 1년동안의 아이스크림/빙수 검색 클릭량을 받아왔다 -csv파일로 다운받기! 데이터 통합 -기온파일에서 날짜, 평균기온, 최저기온을 가져오고, 아이스크림 파일에서는 아이스크림/빙수 클릭량을 가져와 새로운 파일을 만들어주었다. 데이터 불러오기 import csv f = open('temp_ice.csv', encoding='euc-kr') # temp_ice..

기획의도 학생들이 학교 탈의실에서 옷을 갈아입을 때 다른 반, 성별 학생이 장난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 이에 우리는 이 문제점을 해결하고 학생들이 옷을 편하게 갈아입을 수 있도록 하고자 기획하였다. 구현 시나리오(순서도) 시스템 개요 사전에 구글티처블 머신에서 반별 손모양을 학습한 후에 스파트폰의 AI앱 을 활용해 학습데이터와 스마트폰 카메라에 보여준 이미지를 비교해 약속 된 시간과 이미지가 같으면 도어락이 열린다. 사용 장비 - 구글 티처블머신 : 무료 서비스로 전세계 누구나 손쉽게 이미지 또는 사 운드를 학습시켜 자동분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학습데이터 세트를 제공한 다 - 스마트폰 AI앱 : 구글 티처블머신의 학습데이터를 불러와 스마트폰의 카 메라 또는 마이크에서 받은 데이터와 비교해 분류하는 기..

최근 흥미로운 기사를 발견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190911001200 [김정호의 4차혁명 오딧세이] 인공지능과 엔트로피 김정호 교수.엔트로피의 정의와 인공지능의 요구'엔트로피'라는 단어는 1865년 독일의 물리학자 루돌프 클라우지우스가 처음으로 사용했다. 엔트로피라는 단어는 에너지라는 뜻의 그리스 어원 newspim.com 논점 열역학 제2 법칙에서는 항상 전체 계의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사건이 일어나는데 인공지능은 물리 법칙과 반대로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학습을 최적화 한다. 이유 인공지능에서는 출력 결과값이 분명할수록 좋다. 그래야 인공지능이 미래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출력 결과값이 분명하려면 엔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