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공부/C언어 (3)
공hannah부

문제 두 자연수 A와 B가 있을 때, A%B는 A를 B로 나눈 나머지 이다. 예를 들어, 7, 14, 27, 38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1, 2, 0, 2이다. 수 10개를 입력받은 뒤, 이를 4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그 다음 서로 다른 값이 몇 개 있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부터 열번째 줄 까지 숫자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이 숫자는 1,000보다 작거나 같고, 음이 아닌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42로 나누었을 때, 서로 다른 나머지가 몇 개 있는지 출력한다. 알고리즘 42크기 만큼의 배열 a를 0으로 초기화 ↓ 숫자를 입력받을 때마다 배열 a의 [입력받은 숫자(num)를 42로 나눈 나머지]번째 공간에 1씩 더해줌 ↓ 반복문을 사용해 a의 모든 공간 중 1과..

문제 X대학 M교수님은 프로그래밍 수업을 맡고 있다. 교실엔 학생이 30명이 있는데, 학생 명부엔 각 학생별로 1번부터 30번까지 출석번호가 붙어 있다. 교수님이 내준 특별과제를 28명이 제출했는데, 그 중에서 제출 안 한 학생 2명의 출석번호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은 총 28줄로 각 제출자(학생)의 출석번호 n(1 ≤ n ≤ 30)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출석번호에 중복은 없다. 출력 출력은 2줄이다. 1번째 줄엔 제출하지 않은 학생의 출석번호 중 가장 작은 것을 출력하고, 2번째 줄에선 그 다음 출석번호를 출력한다. 알고리즘 배열a에 제출자의 출석번호 입력 받기 ↓ i가 0부터 28보다 작을 때 동안 반복 i반복문 안에 j가 0부터 30보다 작을 때 동안 반복 만약 배열a의 ..

메모리의 동적할당이란? 프로그램 실행 시간동안 사용할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는 것. : 데이터 영역과 스택 영역에 할당되는 메모리의 크기는 컴파일 타임에 미리 결정되는데, 힙 영역의 크기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도중인 런 타임에 사용자가 직접 결정하게 된다. 이렇게 런 타임에 메모리를 할당받는 것을 메모리의 동적 할당(dynamic allocation)이라고 한다. 사용 함수 - malloc() : 이 함수는 프로그램이 실행 중일 때 사용자가 직접 힙 영역에 메모리를 할당할 수 있게 해준다 void *malloc(size_t size); - free() : 이 함수는 힙 영역에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을 다시 운영체제로 반환해주는 함수이다. malloc()함수를 사용해 메모리를 할당받아준 다음 더 이상 사용하지..